sourcetree 4
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④

원격 저장소 인터넷,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의 저장소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연결해서 백업할 수 있다. 로컬 저장소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원격 저장소에 계속해서 업로드 원격 저장소 만들기 소스트리에서 저장소(Repository) - 원격 저장소 추가(Add Remote) - Add - github에서 http/ssh 주소 복사 - URL/Path에 붙여넣기 생성하면 Remotes에 방금 만든 원격 저장소가 나타남 push : 로컬 저장소에 있는 소스 코드를 원격 저장소로 밀어냄 ->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동기화 로컬 컴퓨터가 없을 때 github - commits 들어가면 그 동안 작업했던 버전들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. 협업 혼자 로컬 저장소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새롭게 누군가..

programming/git 2021.03.05
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③

Branch 마치 두 개의 프로젝트 폴더를 따로 가지고 작업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 이 작업이 끝났을 때, 실험적인 작업에서 변경된 내용을 오리지널 소스로 매우 간편하게 병합할 수 있다. 각 브런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카피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. mater branch : 저장소를 만들 때 기본적으로 만들어지는 브랜치 merge(병합) : 실험 브랜치에서 했던 작업들을 마스터 브랜치에 합침. 받는 쪽 브랜치를 선택(checkout) 한 후 가져오려는 브랜치 우클릭 - 현재 브랜치로 병합(Merge 브랜치이름 into current branch) Conflict(충돌) 브랜치들이 서로 같은 곳을 수정했을 때, 버전관리 시스템이 자동을 병합해 줄 수 없어 사용자에게 그 문제를 해결하라고 함 마..

programming/git 2021.03.01
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②

되돌리기 각각 버전들에 해당하는 코드들을 보는것 뿐만 아니라, 과거의 특정 상태의 코드로 돌아갈 수도 있어야한다. 이런 점에서 버전관리 시스템은 매우 중요함. 1. Discard 어떤 파일을 수정하고 커밋 하기 전 상태이면 폐기(Discard) 기능을 통해서 수정한 내용을 취소하고 가장 최신 버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. 2. Reset 이미 커밋한 버전을 취소하는 방법. 버전이 모두 날라가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함 1. 돌아가고 싶은 버전 선택 - reset to commit - using mode- hard : 선택한 버전 이후 모든 버전이 모두 삭제 됨 2. 돌아가고 싶은 버전 선택 - reset to commit - using mode- mixed : 선택한 버전 이후 모든 버전은 삭제하면..

programming/git 2021.02.28
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①

버전관리란? 동일한 정보에 대한 여러 버전을 관리하는 것을 말함.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, 문제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고, 변화에 실패 했을 때 이전 상태로 쉽게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. 백업과 협업에서도 많이 쓰이며, 형상관리라고도 부른다. 각 버전들은 프로젝트의 변화를 의미하며, 그 버전들을 통해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추적할 수 있다. 버전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선 git을 설치해야함 git은 명령어로 버전관리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다. 이때, gui 환경의 소스트리(Source Tree)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git을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. 저장소 만들기 New tab - Create a repository 에서 경로 설정하고 생성을 누르면 프로젝트를 위한 ..

programming/git 2021.02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