버전관리란?
동일한 정보에 대한 여러 버전을 관리하는 것을 말함.
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, 문제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주고, 변화에 실패 했을 때 이전 상태로 쉽게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. 백업과 협업에서도 많이 쓰이며, 형상관리라고도 부른다.
각 버전들은 프로젝트의 변화를 의미하며, 그 버전들을 통해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추적할 수 있다.
버전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선 git을 설치해야함
git은 명령어로 버전관리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다.
이때, gui 환경의 소스트리(Source Tree)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git을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.
저장소 만들기
New tab - Create a repository 에서 경로 설정하고 생성을 누르면 프로젝트를 위한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.
repository type은 git으로 설정
설정한 디렉토리에 코드나 사용한 이미지 등 데이터를 저장해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게 된다.
Commit 하기
commit 커밋 : 하나의 버전을 만드는 행위
커밋을 할 때, 작업한 내용이나 수정 사항 등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.
git은 우리가 작업하고 있는 저장소에서 일어나는 일(파일이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수정되거나)이 생기면 알아채고 준비가 되어있음
unstaged(Working Directory) : 수정된 파일 목록이 표시 됨. add하면 파일들이 Staging Area 로 올라감
staged(Staging Area) : unstaged 파일 올려주면 여기로 오게 되며, 커밋을 통해서 저장소에 하나의 버전으로 저장이 됨
Working Directory -> Staging Area -> Repository 순서로 파일 이동
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하면 해당 파일이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에 나타난다.
스테이지로 올린 후에 위에 있는 커밋 버튼을 누름
수정한 내용을 입력한 후 커밋 누르면 끝
커밋 완료!
'programming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④ (0) | 2021.03.05 |
---|---|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③ (0) | 2021.03.01 |
소스트리(source tree) 이용해서 git 사용하기② (0) | 2021.02.28 |